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네트워크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네트워크>
=Internet : Inter Network
1. 방위 고등 연구 계획국(DARPA , Defense Advanced ResearchProjects Agency) - 국가기관 (투자자)
2. AT&T -회사
Bell 연구소(Bell사) => Unix 기반 NETWORK 테스트
3. 버클리대학 -대학
*버클리대학 ( UNIX -국가망(바이러스X) ) - LINUX - MAC - WINDOWS(바이러스)
=> 1 / 2 / 3 모여 규약(protocol - 악수..) 문서로( -> 국제규약(IEEE / ISO)) 작성 => TEST(ALPHA NET)
**(천궁 - 크루즈(날개 / GPS / 카메라 / 레이더 / CPU - 가미가제)
(발사체(용접),이삿짐센터 이동- 해상 테스트))**
=> TEST 망 => ALPHA NET => 다른기관 참가 => 망이 확대/복잡 => INTERnational NETwork
- IP ( Internet Protocal ) - IP ADDRESS
*(국가망:PN(Private Network) (인터넷망) (금융망) -> 분리
*VPN( A(암호화) -> (복호화)A )
-규약 하나라도 다르면 - GATEWAY가 패킷 폐기
=네트워크 형태
1. STAR( 방 형성(내부 GATEWAY))(내부GATEWAY + 내부GATEWAY ... => 외부 GATEWAY) => 각 건물 => 각 동
=>전화국(고가-빠름)
*(광케이블 자르는 것 정확히 - 기계 셋팅)
-감쇄 (쉴드/그물 로 싼다- 신호 보호/ 잡음 제거)
-랜선등급(category)-5e...(숫자 낮으면 속도 낮음)(공유기확인 / 랜선확인)
=LAN: Local Area Network - 근거리 네트워크
=LAN의 종류(통신방법)
1. ETHERNET PROTOCOL
.
.
.
=WAN : Wide Area Network => LAN + LAN ...
=Internet : WAN + WAN
-GATEWAY (공유기) : 번호 (보통) X.X.X.1
=BROADCAST : 방송 : 번호 X.X.X.255 (PROTOCOL)(네트워크 장치들끼리 ..)
=1:1
<C>
=TYPEDEF 선언
#include <stdio.h> |
=구조체의 정의와 TYPEDEF 선언
#include <stdio.h> |
=구조체속 배열 복사 가능 =>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편리함
-구조체변수 = 구조체변수
-배열변수 = 배열변수 => 주소상수 = 주소상수 => compile error
#include <stdio.h> |
-비교
#include <stdio.h> |
=컴파일러(32bit)와 구조체 관계
(장시간 통신 - 구조체 사용시 size 계산 주의)
-보통 변수 선언 => 변수 선언 순서대로 ADDRESS 아래에서부터 할당
-배열/구조체 => ADDRESS 아래에서부터 통째로 할당 => 변수 선언순서대로 위에서부터 할당
-4BYTE > 2BYTE(1BYTE보다 클 경우) > 1BYTE
#include <stdio.h> |
#include <stdio.h> |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AVR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AVR2560
=INTERRUPT(P131)
-주변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CPU가 가장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방법
-비동기적인 일(EVENT, 사건)을 CPU가 빠르게 처리
-주변장치(비교적 저속) - CPU(매우 고속) 사이에서 효율 적으로 일을 수행하느 중요한 수단
=종류
-발생원인 : 외부인터럽트
-반응방식 : 차단 가능 인터럽트
-입출력기기확인방법 : 벡터형 인터럽트 ( 마이크로 콘트롤러 방식 >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방식 )
=(P25)
=인터럽트 우선순위
=인터럽트 처리 과정
1. 인터럽트 요청 신호의 검출
2. 인터럽트 우선순위 제어 및 허용 여부 판단
3.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시작 번지 확인
4. 복귀조수 및 레지스터를 저장
5.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
6.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종료하고 원래의 주프로그램으로 복귀
=INT0 => VECTOR_1
void __vector_1(void__attribute__((signal,used, externally_visible));
void __vector_1(void)
{
;
}
#include <avr/interrupt.h>
ISR( INT0_vect)
{
}
int main(void)
{
}
=
1. SREG 7BIT => 0
2. APORT 출력
3. DPORT 입력
4. EICRA/EICRB/
EIMSK(SET INT0)
/EIFR
=
<AVR2560.H>
<INTERRUPT.H>
<INTERRUPT.C>
<MAKEFILE>
=실행
1. RISING EDGE
2. FALLING EDGE
3. RISING + FALLING EDGE